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통=

큐베이스 설치부터 기본 사용법까지: 실용 음악 작곡 입문자를 위한 튜토리얼

by 아티스트다 2025. 7. 7.
반응형

음악 작곡에 관심이 있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특히 실용음악을 다루기 위해 강력한 DAW(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들으셨을 텐데요. 큐베이스(Cubase)는 초보자와 전문가 모두에게 사랑받는 DAW로, MIDI 작업과 오디오 녹음에 탁월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큐베이스

 

 

이번 시간에는 큐베이스 설치부터 기본 사용법까지 단계별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실용음악 작곡 입문자분들이 쉽게 이해하고 첫 음악을 완성하실 수 있도록 작성했습니다. 

 

 

큐베이스란 무엇인가요?

큐베이스(Cubase)는 음악 제작 도구로,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MIDI 및 오디오 작업에 최적화: 실용음악 작곡 및 녹음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제공합니다. 

- 다양한 음악 장르 지원: 팝, 힙합, EDM 등 현대 음악부터 클래식 음악 작업까지 가능합니다. 

- 강력한 플러그인 및 가상 악기(VST): 기본 제공되는 플러그인만으로도 고품질 사운드 제작이 가능합니다. 

 

특히 큐베이스는 초보자들도 빠르게 적응할 수 있어, 실용음악 작곡을 처음 시작하는 데 적합한 도구로 손꼽힙니다. 

 

큐베이스 설치 가이드

1. 큐베이스 버전 선택

큐베이스는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며, 기능과 가격이 다릅니다. 

 

- Cubase Elements: 입문자용 기본 버전. 가격이 저렴하고 필요한 기능만 탑재 

- Cubase Artist: 중급 사용자용으로 MIDI 작업과 오디오 녹음 기능이 강화된 버전 

- Cubase Pro: 전문가용 버전으로 대규모 프로젝트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입문자로 시작하신다면 Cubase Elements를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큐베이스 다운로드 및 설치

1. Steinberg 공식 홈페이지 접속: http://www.steinberg.net

 - "Download" 섹션에서 사용하실 버전의 큐베이스 설치 관리자 다운로드 

2. Steinberg Download Assistant 설치: 큐베이스뿐만 아니라 필요한 드라이버와 가상 악기를 설치할 수 있는 툴입니다. 

3. 라이선스 등록:

 - 설치 중 라이선스 키를 입력해야 하며, 이는 큐베이스 구매 시 이메일을 통해 제공됩니다. 

4. 오디오 인터페이스 다운로드 (옵션): 

 - ASIO 드라이버를 설치하세요. 이를 통해 작업 시 오디오 지연(latency)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시스템 요구 사항

설치를 진행하기 전, 아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세요.

 

- 운영 체제(OS): Windows 10 이상 또는 macOS 10.15 이상 

- RAM: 최소 4GB, 권장 8GB 이상 

- 저장 공간: 설치 시 약 30GB 이상의 디스크 공간 필요 

- 오디오 인터페이스(선택): 보다 선명한 사운드를 위해 인터페이스 사용을 권장합니다. 

 

큐베이스 기본 사용법

1. 큐베이스 인터페이스 이해하기

설치를 완료했다면 큐베이스를 실행하고 기본 화면을 살펴봅시다. 

 

- 프로젝트 창(Project Window): 트랙과 오디오 데이터를 편집하는 메인 화면 

- 트랙 패널(Track Panel): 다양한 종류의 트랙을 추가하거나 설정합니다. 

- 믹서 패널(Mixer): 오디오 트랙의 볼륨, 팬(pan), 이펙트를 조절합니다. 

- 트랜스포트(Transport Panel): 재생, 녹음, 정지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컨트롤 패널입니다. 

 

 

2. 새 프로젝트 생성

1. 파일(File) 메뉴에서 "New Project" 선택 

2. 제공되는 템플릿 중에서 빈 프로젝트(Empty Project)를 선택하세요. 

3. 저장 위치를 지정하고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3. 트랙 추가하기

= MIDI 트랙: 디지털 악기를 이용해 멜로디와 리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상단 메뉴에서 Project > Add Track > Instrument 클릭 

 - 원하는 가상 악기(VST)를 선택하여 트랙 생성 

= 오디오 트랙: 기타, 보컬 등 녹음에 사용 

 - Project > Add Track > Audio를 통해 오디오 트랙을 추가 

4. MIDI 작곡하기

1. 가상 악기 불러오기: Add Track에서 Halion Sonic SE와 같은 기본 가상악기를 선택 

2. 미디 데이터 입력:

 - 특정 구간을 더블 클릭하여 미디 에디터 창을 열고 원하는 음표 입력 

 - 키보드 단축키 Alt + 클릭으로 음표 복사 가능 

5. 오디오 녹음

1.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연결한 후 큐베이스 설정에서 해당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세요. 

2. 오디오 트랙을 추가하고 녹음 버튼을 눌러 녹음을 시작합니다. 

6. 트랙 편집 및 이펙트 적용

- 트랙의 특정 구간을 선택하고 마우스를 드래그하여 편집 

- 믹서 패널에서 EQ나 리버브와 같은 기본 이펙트를 추가하여 사운드를 보강할 수 있습니다. 

 

큐베이스 vs 에이블톤: 가격, 기능, 사용자 경험 비교 

 

큐베이스 vs 에이블톤: 가격, 기능, 사용자 경험 비교

 

cloudbaro.blogspot.com

 

 

큐베이스로 첫 음악 만들기

실용음악 작곡을 위해 아래 단계를 따라 해 보세요.

 

1. 드럼 패턴 만들기: 가상 악기를 사용하여 드럼 비트를 생성하세요. 

2. 코드 진행 추가하기: MIDI 트랙에 간단한 코드 진행(C, G, Am, F 등)을 입력 

3. 멜로디 작성: 또 다른 MIDI 트랙에 보컬 멜로디나 악기 솔로를 추가합니다. 

4. 오디오 트랙에 보컬 녹음: 보컬 트랙에 효과를 추가해 완성도 높은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큐베이스 설정 최적화

큐베이스 사용 중 성능을 최대화하려면 아래와 같은 설정을 확인하세요. 

 

- ASIO 드라이버 사용: "Studio > Studio Setup"에서 ASIO 드라이버를 활성화하세요. 

- 버퍼 사이즈 조정: 버퍼 크기(ASIO Latency)를 줄이면 무거운 프로젝트도 안정적으로 실행이 가능합니다. 

- 자동 저장 활성화: "Preferences > General"에서 자동 저장 기능을 켜 두세요. 

 

 

결론 및 팁

큐베이스는 초보자들에게 약간의 학습 곡선이 필요하지만, 음악 제작 과정에서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처음엔 단순한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기능을 익히고, 이후 점점 더 복잡한 작업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추가 팁: 무료 학습 자료 활용

= 큐베이스 제공 공식 튜토리얼: 👉 Steinberg 유튜브 채널  

= 큐베이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정보 공유: 👉 Steinberg Forum 

 

2025.06.06 - [=생활 정보통=] - 작곡 독학을 시작한다면? 꼭 알아야 할 필수 프로그램 추천

 

작곡 독학을 시작한다면? 꼭 알아야 할 필수 프로그램 추천

음악을 사랑하는 분이라면 한 번쯤 자신의 곡을 만들어 보고 싶은 꿈을 꿔본 적이 있으실 텐데요. 이번 시간에는 작곡 독학을 시작할 때 꼭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소개해 드립니다. 초보자도 쉽

artistbox11.tistory.com

 

 

반응형

댓글